티스토리 뷰
옥자(2017)는 봉준호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인간과 동물의 우정, 그리고 산업화의 잔혹성을 통해 현대 사회의 소비 문화를 비판하는 작품이다. 영화는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한 슈퍼돼지 ‘옥자’와 어린 소녀 미자의 우정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러나 옥자는 단순히 미자의 친구가 아닌, 대기업의 이윤을 위한 ‘상품’으로 취급된다. 영화는 이러한 설정을 통해, 동물권과 식품 산업의 비인간성을 고발하며, 순수함과 탐욕이 충돌하는 세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1. 동물과 인간의 우정, 순수함과 착취의 경계
영화의 도입부는 한국 산골에서 평화롭게 살아가는 미자와 옥자의 일상을 보여준다. 두 캐릭터는 서로에게 가족과도 같은 존재로, 미자는 옥자를 단순한 가축이 아닌 친구로 여긴다. 옥자는 거대한 몸집에도 불구하고 온순하고 사랑스러운 성격으로, 미자와 함께 숲속을 뛰놀며 자연 속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이 장면은 인간과 동물의 우정이 얼마나 순수하고 따뜻할 수 있는지를 강조하며, 관객들에게도 깊은 감동을 준다. 하지만 이러한 평화로운 일상은 옥자가 미란도 기업의 슈퍼돼지 프로젝트의 일환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며 깨진다. 미란도 기업은 유전자 조작으로 생산한 슈퍼돼지들을 전 세계로 보내 키우게 한 뒤, 가장 우수한 개체를 식품 사업에 활용하려 한다. 옥자는 단순한 친구가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는 ‘상품’일 뿐이다. 영화는 이 대조를 통해, 동물을 인간의 동반자가 아닌 소비와 착취의 대상으로 여기는 현대 사회를 비판한다. 옥자를 되찾기 위해 뉴욕까지 달려가는 미자의 여정은, 동물권에 대한 문제 제기를 넘어서, 순수한 우정이 탐욕스러운 산업 구조 속에서 얼마나 무력한지를 보여준다. 특히 옥자가 잡혀간 뒤 보여주는 잔혹한 도축장 장면은, 동물의 생명권을 경시하는 현대 육류 산업의 현실을 직시하게 만든다.
2. 미란도 기업과 슈퍼돼지, 산업화 속에서 사라진 순수성
미란도 기업은 슈퍼돼지 프로젝트를 통해 식량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대중에게 ‘친환경적’ 이미지를 심어주려 한다. 그러나 실상은 환경 보호와는 거리가 멀며, 기업의 탐욕과 거짓말로 가득 차 있다. 미란도 CEO 루시(틸다 스윈튼)는 슈퍼돼지를 자연적으로 키운다고 홍보하지만, 실제로는 유전자 조작과 비윤리적 사육 방식을 감추고 있다. 옥자가 뉴욕으로 끌려가면서 기업의 잔인한 실체가 하나씩 드러난다. 미자의 순수한 사랑과 달리, 미란도는 오직 이윤을 위해 옥자를 상품으로 취급한다. 심지어 미자가 옥자를 되찾으려 노력하는 과정도 ‘홍보’로 이용하며, 기업 이미지 개선에 활용하려 한다. 이러한 아이러니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도덕성과 이윤이 충돌할 때 얼마나 쉽게 도덕이 무시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옥자가 도축장에서 처참하게 다뤄지는 장면은 그 자체로 큰 충격을 준다. 특히, 옥자와 같은 슈퍼돼지들이 가축 공장에서 도살을 기다리는 장면은 실제 육류 산업의 현실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동물들을 상품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은 인간의 이기심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이 장면을 통해 관객들은 우리가 무심코 소비하는 고기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성찰하게 된다.
3. 순수성의 회복과 희망, 그러나 남겨진 질문
영화의 결말에서 미자는 옥자를 구해 고향으로 돌아가지만, 수많은 슈퍼돼지들은 여전히 도축장에 갇혀 있다. 미자는 옥자와 자신의 가족을 지키는 데 성공하지만, 나머지 슈퍼돼지들은 구하지 못한 현실은 여전히 씁쓸하다. 이는 우리가 일부 문제를 해결했다고 해서, 전체 구조가 바뀌지 않는 현실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미자와 옥자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마지막 장면은 다시 평온함을 되찾은 것처럼 보이지만, 영화는 결코 완전한 해피엔딩이 아니다. 미란도 기업은 여전히 육류 산업을 주도하고 있으며, 옥자와 비슷한 수많은 슈퍼돼지들은 여전히 산업의 희생양으로 남아 있다. 영화는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무관심과 무지 속에서 자행되는 동물 착취 문제를 강력하게 고발한다. 또한, 옥자와 미자의 우정이 다시 회복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여전히 변하지 않는 사회 구조가 있다. 이는 봉준호 감독이 관객에게 던지는 질문이기도 하다. "옥자 한 마리를 구하는 것이 진정한 해결책인가?" 영화는 단순히 감정에 호소하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가 실제로 동물권과 환경 문제에 대해 얼마나 무관심했는지 성찰하게 만든다.
결론: 순수함과 탐욕이 공존하는 세계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옥자는 단순한 동화가 아니라, 자본주의와 동물권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룬 사회적 비판 영화다. 미자와 옥자의 우정은 순수함을 상징하지만, 산업화 속에서 그 순수성은 얼마나 쉽게 착취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미란도라는 거대 기업은 현대 자본주의의 단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영화는 소비자가 직접적인 가해자가 아닐지라도, 무관심이 얼마나 큰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일깨운다. 이 영화를 본 후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된다. "나의 소비 습관은 과연 옥자와 같은 동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옥자는 우리에게 선택을 강요하지 않지만, 무엇이 옳은지 묻는다. 이는 단순한 우정 이야기를 넘어, 현대 사회에서 인간성과 윤리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강렬한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