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터널 선샤인과 500일의 썸머는 모두 사랑과 이별을 다루지만, 그 감정의 궤적과 서사 방식은 완전히 다르다. 두 영화는 기억, 관계, 회복에 대한 통찰을 각기 다른 시점과 장르로 풀어내며, 사랑을 잃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섬세하게 보여준다. 1. 사랑의 기억을 지우는 사람 vs 다시 곱씹는 사람이터널 선샤인의 조엘은 연인 클레멘타인과의 기억을 완전히 지우기 위해 의료 시술을 받는다. 이별의 고통이 너무 커서 기억마저 없애고 싶은 것이다. 하지만 기억 삭제 중 그는 깨닫는다. 아프더라도 그 기억들이 자신을 구성하고 있으며, 좋은 순간들은 지우고 싶지 않다는 사실을. 영화는 조엘이 무의식 속에서 클레멘타인의 잔상을 붙잡으려는 여정을 보여주며, 사랑이 단순한 감정이 아닌 존재의 일부임을 강조한다. ..

〈조커〉와 〈택시 드라이버〉는 각각 2019년과 1976년에 개봉한 작품이지만, 시대를 초월한 공통된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사회로부터 철저히 고립된 개인에게 어떤 책임을 묻는가?” 두 영화 모두 한 남자의 외로움과 소외가 어떻게 폭력으로 이어지는지를 다루며, 관객에게 불편하지만 묵직한 감정과 사회적 질문을 남긴다. 이 글에서는 아서 플렉과 트래비스 비클, 두 인물이 왜 비극적 선택을 하게 되었는지, 그 배경과 연출을 통해 분석해본다. 1. 조커와 택시 드라이버에서 고립된 남자의 일상, 반복되는 침묵 속 절규〈조커〉의 아서 플렉은 정신 질환을 앓으며 코미디언을 꿈꾸는 남자다. 그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축소로 치료를 중단당하고, 일자리에서도 쫓겨난다. 거리에서 구타당하고, 지하철에서 자신을 조롱하던 남자..

〈이터널스〉와 〈왓치맨〉은 초인의 존재를 중심으로 한 히어로물이지만, 그들이 세상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두 작품은 ‘신과 같은 힘을 가진 존재는 인간을 구원해야 하는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며, 초인의 윤리, 책임, 무력감까지 폭넓은 철학적 사유를 담는다. 이너널스와 왓치맨에서 신은 왜 인간을 구하지 않는가〈이터널스〉에서 이터널들은 문자 그대로 ‘신적 존재’다. 인간보다 오래 살아왔고, 문명을 지켜보며 지구의 발전에 간접적으로 개입해왔다. 그러나 그들은 결정적인 순간에 개입하지 않기로 되어 있다. 이유는 그들이 섬기는 창조주 ‘셀레스티얼’의 명령 때문이다. 인류를 멸망에서 구할 수 있는 힘이 있음에도 그들은 지켜보기만 한다. 이 선택은 관객에게 불편함을 안..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2007)와 더 배트맨(2022)은 모두 ‘악’이라는 존재에 대해 깊이 있게 파고드는 작품이다. 전자는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혼돈과 폭력의 시대를 담담하게 바라보며, 후자는 정의의 이름으로 악에 맞서려는 고뇌하는 영웅의 이야기를 그린다. 이 두 작품은 서로 다른 장르와 톤을 가졌지만, 공통적으로 ‘악이 왜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정면으로 부딪히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관객에게 해답 아닌 해답을 제시한다. 하나는 악을 설명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다른 하나는 악에 맞서 싸우는 존재로 스스로를 정의한다. 1. 설명할 수 없는 악 vs 정체를 추적하는 악코엔 형제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서 등장하는 안톤 쉬거는 어떤 감정이나 목적도 없이 살인을 저지르는 존재다. 그는 돈이든 ..

영화 〈가타카〉(1997)와 〈엘리시움〉(2013)은 모두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한 SF 작품이지만, 그 중심에는 ‘불평등’이라는 공통된 주제가 놓여 있다. 다만 두 영화가 이 문제를 풀어내는 방식은 확연히 다르다. 〈가타카〉는 유전적 차별이라는 과학적 설정을 통해 ‘개인의 의지와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엘리시움〉은 자본 계층의 극단적 분리를 통해 ‘사회 구조의 폭력성’을 드러낸다. 이 두 작품은 ‘누가 자격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인간이 만든 차별과 그로부터 벗어나려는 의지를 각각 다른 톤과 방식으로 그려낸다. 1. 유전자 vs 부, 차별의 시스템이 다르게 설계된 가타카와 엘리시움〈가타카〉의 세계에서는 인간이 태어나기도 전에 유전적으로 ‘설계’된다. 이른바 ‘유전자 우성자’와 ‘자연 출생..